판정서/성능검사보고서
성능검사 판정서/성능인증

성능검사판정서 : 한국환경공단
- [2020년]
- 4월 7일 신청접수(한국환경공단)
- 5월 18일 검사 시제품 입고(비점저감시설 검사부)
- 5월 20일 성능검사 완료(선속도 20m/h 통과)
- 5월 21일 검사 시제품 철수
- 2020년 10월 17일 성능검사 판정서 발급(제2020-003호) - 고급형
- 2021년 01월 26일 성능검사 판정서 발급(제2021-005호) - 일반형

성능인증서 : 중소벤처기업부 장관
- [2021년]
- 7월 28일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성능인증서 취득
- 인증유효기간 : 2021.07.28 ~ 2024.07.27
- 인증품목 : 다공성 PE 여재가 2중 탈리되는 비점오염저감시스템
(Ara20 등 30개 품목)
성능인증용 시제품
고급형
일반형
개요
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" 제2조제13호에서 정의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은 "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"
시행규칙 별표6에 제시된 시설을 의미하며 이 시설에 대한 성능검사는 2016년에 개정된 "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․ 운영 매뉴얼" 에 명시되어 있다.
아라체육조경㈜ 의 장치형 시험시설은 별표6에 제시된 시설 중 여과형 시설로써, 성능평가는 SS처리효율, 입도분석, 손실수두 발생에 따른 역세척 실시, 역세척 후 손실수두 회복 및 여재 의 처리효울 개선효과 등 에 대한 성능검사를 통해 인증받은 시설 이다.
아라체육조경㈜ 의 장치형 시험시설은 별표6에 제시된 시설 중 여과형 시설로써, 성능평가는 SS처리효율, 입도분석, 손실수두 발생에 따른 역세척 실시, 역세척 후 손실수두 회복 및 여재 의 처리효울 개선효과 등 에 대한 성능검사를 통해 인증받은 시설 이다.
구분 | 의뢰기관 | 시험기관 |
---|---|---|
기관명 | 아라체육조경㈜ | (재) 전라남도환경산업진흥원 |
주소 |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감문로 1029-46 |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강진산단로 1길 1 |
대표자 | 조명자 | 박응렬 |


비점오염저감장치-성능검사 제품


여재의 물리적 특성 (다공성 PE 부상여재)

[다공성 PE부상여재(BOLTON) ]
구분 | 시험항목 | 단위 | 결과치 | 시험법 |
---|---|---|---|---|
다공성 PE 부상 여재 | 재질 | - | 주 재질이
PE (Polyethylene) |
KS M 0024 : 2017 (준용, ATR) / KS M ISO 11357-1 : 2009 (준용) |
평균 지름 | mm | 6 | KS B ISO 13385-1 : 2014 (n=10) |
|
평균 길이 | mm | 8 | KS B ISO 13385-1 : 2014 (n=10) |
|
인장하중 | N | 78 | KS B 5541 : 1985 | |
인장강도 | MPa | 9.70 | KS M ISO 527-2 : 2012 | |
신장률 | % | 5 | KS B 5541 : 1985 | |
비중 | - | 0.77 | ASTM D792-13 | |
겉보기 밀도 | kg/m3 | 26.1 | KS M ISO 7214 : 2012 |
여재의 물리적 특성 (다공성 PE 부상여재)

[시험에 사용된 1차 시험수에 대한 입도분포곡선 ]

[시험에 사용된 2차 시험수에 대한 입도분포곡선]

[시험에 사용된 3차 시험수에 대한 입도분포곡선]
총 3차례에 걸친 유입수 입도분석 결과 3차례 모두에서63um 이하에 해당하는 누적분포가 70~80%에 해당하여 매뉴얼에서 제시한 입경 구성비에 적합하다고 보여진다.
- 실내실험에 적용하는 유입수 내 입자 입경 구성비 (출처-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 운영 매뉴얼)
구분 유사의 입경 < 63 63~200 계 구성비(%) 70~80 20~30 100 - 시험에 사용한 유입수의 주유 보피비에 따른 입경 크기
구분 주요 부피비의 입경 크기 D(10) D(50) D(90) 1차 24 42 75 2차 27 46 94 3차 25 43 92
유입수 및 처리수의 SS농도와 처리효율 (다공성 PE 부상여재 BOLTON)
구분 시간(분) | 유입수 농도 (mg/L) | 유출수 농도 (mg/L) | 처리효율 (%) | 선속도 (m/h) | 구분 |
---|---|---|---|---|---|
0 | - | - | - | 18.9 | Cycle 1 |
30 | 252.8 | 42.9 | 83.0% | 19.2 | |
60 | 274.6 | 44.6 | 83.8% | 18.8 | |
90 | 260.8 | 48.6 | 81.4% | 18.8 | |
120 | 255.3 | 43.2 | 83.1% | 18.9 | |
150 | 269.7 | 46.0 | 82.9% | 19.0 | |
180 | 267.9 | 46.1 | 82.8% | 18.9 | |
210 | 335.5 | 70.0 | 79.1% | 20.4 | Cycle 2 |
240 | 172.6 | 35.8 | 79.3% | 20.4 | |
270 | 333.4 | 41.4 | 87.6% | 20.3 | |
300 | 199.9 | 37.0 | 81.5% | 20.2 | |
330 | 251.2 | 43.8 | 82.6% | 20.1 | |
360 | 289.9 | 51.8 | 82.1% | 19.1 | |
390 | 312.2 | 58.3 | 81.3% | 20.3 | Cycle 3 |
420 | 284.6 | 45.3 | 84.1% | 20.4 | |
450 | 336.7 | 45.5 | 86.5% | 20.3 | |
480 | 339.7 | 59.9 | 82.4% | 20.2 | |
510 | 296.0 | 39.1 | 86.8% | 20.2 | |
540 | 310.3 | 49.4 | 84.1% | 20.0 |
여과형 시험시설 운전기간 동안 총 18회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으며, 처리효율 평가를 위해 시설로 유입된 인공 강우유출수의 평균 농도(n=18)는 280.2(±45.9)mg/L 수준이었고, 유출수의 평균 농도는 47.2(±8.5)mg/L로 나타났다.
유입수의 최대 및 최소 농도는 339.7mg/L, 172.6mg/L 였으며, 유출수의 최대 및 최소 농도는 70.0mg/L, 35.8mg/L로 나타났다. 처리효율은 평균 83.0%였으며 79.1~87.6%의 범위를 보였다.
본 시험에서 적용된 평균 선속도는 19.8m/h 였으며, 각 cycle 별 평균 선속도는 18.93m/h, 20.08m/h, 20.23m/h 로 나타났다.
이 장치의 경우 여재부 앞단에 전처리조가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 현장에 설치 운영 시 유역 유출특성에 따라 처리조의 처리효율은 변화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.
또한 현장 설치 시, 200㎛ 이상의 큰 입경을 갖는 물질이 장치로 들어올 경우 시설의 처리효율은 본 실험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.
유입수의 최대 및 최소 농도는 339.7mg/L, 172.6mg/L 였으며, 유출수의 최대 및 최소 농도는 70.0mg/L, 35.8mg/L로 나타났다. 처리효율은 평균 83.0%였으며 79.1~87.6%의 범위를 보였다.
본 시험에서 적용된 평균 선속도는 19.8m/h 였으며, 각 cycle 별 평균 선속도는 18.93m/h, 20.08m/h, 20.23m/h 로 나타났다.
이 장치의 경우 여재부 앞단에 전처리조가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 현장에 설치 운영 시 유역 유출특성에 따라 처리조의 처리효율은 변화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.
또한 현장 설치 시, 200㎛ 이상의 큰 입경을 갖는 물질이 장치로 들어올 경우 시설의 처리효율은 본 실험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.
손실수두 실험

여재부 여재 충진 후의 무부하 상태에서 상향류에 의한 압밀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수두 값을 확인하기 위해 선속도(평균 19.80m/h)에 대하여 청수(淸水)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. 여기서 청수는 청소된 교반조에 저류지로부터 이송된 원수를 의미한다.
여재부 여재 충진 후 무부하 상태에서의 시험은 여재부를 통과하는 유량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총 30분간 3회에 걸쳐 수행하였으며, 최종적으로 여재부의 압밀에 의한 전처리조에서의 손실수두는 3mm로 나타났다.
여재부 여재 충진 후 무부하 상태에서의 시험은 여재부를 통과하는 유량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총 30분간 3회에 걸쳐 수행하였으며, 최종적으로 여재부의 압밀에 의한 전처리조에서의 손실수두는 3mm로 나타났다.
손실수두 실험


Q : 유입유량(m3/min), C: 유입농도(mg/L)
T: 지속시간(min), A: 여재면적(m2)
T: 지속시간(min), A: 여재면적(m2)
- 고형물 부하별 손실수두 시험을 위해 평균 선속도 19.8m/h를 기준으로 약 9시간(540분, 3 cycle) 동안 운영하였으며, 총 부하량은 49.80kg/m2, 각 cycle 당 약 16.5kg 이상의 부하량이 발생할 때 까지 시험원수를 주입하여 실험하였음.
- 폴리에틸렌(PE) 소재의 입자상 다공성 부상여재(BOLTON)의 운영과정에서 각 Cycle 별로 평균 280.2mg/L 의 SS 유입 농도에서 3시간 동안 운영하였으며,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기준인 10cm 이하의 손실수두(평균 12.7mm)가 발생함을 확인하였음.
- 3cycle에서 평균 80% 이상의 양호한 SS 처리효율을 보였으며, 역세척 후 손실수두가 초기 수준으로 회복되었음.

역세척 운전조건 및 손실수두 환원정도 실험


- 역세척 방법 : 공기세척 + 수세척(회전축 교반)
Step 1
전처리조 정체수의 100% 강제 배수[A펌프(배수펌프) 작동]
Step 2
여과조 정체수의 0.5㎥(22.0%) 강제 배수시[B펌프(정체수펌프)작동] 회전축을 작동하면서 배출한다
Step 3
최대 30m3/h의 공기량으로 공기 역세척 5분간 진행 (공기세척시 회전축을 5분간 동시 진행)
Step 4
처리수조 내 처리수를 이용한 1차 수세척(최대 유량 24m3/h) 및 여재교반(900RPM 회전축 작동) 동시 수행 후 강제 배수
[B펌프(정체수 펌프) 작동] --- 배수시 브로와 작동
※ 처리수조 내 처리수의 0.4㎥(33.3%)의 수량이 소진될 때(처리수조 내 회전축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수위)까지 수행
[B펌프(정체수 펌프) 작동] --- 배수시 브로와 작동
※ 처리수조 내 처리수의 0.4㎥(33.3%)의 수량이 소진될 때(처리수조 내 회전축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수위)까지 수행
Step 5
여과조 1.4㎥(62.5%)배수(B펌프(정체수펌프)작동 : 강제배수) --- 배수시 브로와 작동
Step 6
처리수조 내 처리수를 이용한 2차 수세척(최대 유량 24m3/h) 수행 후 완전 강제배수 --- 배수시 브로와 작동
※ 처리수조 내 처리수가 0.72㎥(60%)의 수량이 소진될 때까지 수행
※ 처리수조 내 처리수가 0.72㎥(60%)의 수량이 소진될 때까지 수행
Step 7
처리수조 내 처리수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하부세척과 배수 동시 수행
역세척 운전조건 및 손실수두 환원정도 실험




역세척 운전조건 및 손실수두 환원정도 실험

- 공기 역세척을 위한한 공기 공급 조건 : 공기 공급 밸브 내경 Φ50mm
- 수세척을 위한 역세척수 공급 조건 : 역세척수 공급 밸브 내경 Φ50mm
- 공기 세척량 및 시간 : 30m3/m2․h(최대), 5분(공기)
- 수세척량 및 시간 : 24m3/m2․h(최대), 3분(역세척수)

- 누적고형물 부하량이 약 16.6kg/m2 (여과지속시간 3시간)에 도달하는 시점

- 청수를 이용한 무부하 시험을 통해 유출부에서의 손실수두 3mm 확인
- 장치형 시설 성능시험을 위해 제조한 유입수는 3cycle 시험 시 모두 매뉴얼에서 제시한 입경 구성비에 적합
- 유입수 평균 농도 280.2(±45.9)mg/L, 유출수 평균 농도 47.2(±8.5)mg/L (n=18), 평균 처리효율 83.0%
(실제 현장에 설치 운영 시 유역 유출특성에 따라 처리효율 변화 가능하며, 200㎛ 이상의 큰 입경을 갖는 물질 유입 시 본 실험과 처리효율 차이가 있을 수 있음) - 각 Cycle별 3시간 동안의 운전 결과,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기준인 100mm 이하의 손실수두(평균 12.7mm)가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, 역세척 후 손실수두가 초기 수준으로 회복
여재 시험 비교표(흑색 스펀지PU / 제올라이트)


여재 시험 비교표(다공성PE 부상여재 / 백색 압축 섬유상 부상 여재 )


여재시험
1. 다공성PE부상여재 시험 –Cycle3
시간/구분 | 유입수 농도(mg/L) | 유출수 농도(mg/L) | 처리효율(%) | 선속도(m/h) |
---|---|---|---|---|
- | - | - | - | 20.2 |
390 | 312.2 | 58.3 | 81.3% | 20.3 |
420 | 284.6 | 45.3 | 84.1% | 20.4 |
450 | 336.7 | 45.5 | 86.5% | 20.3 |
480 | 339.7 | 59.9 | 82.4% | 20.2 |
510 | 296.0 | 39.1 | 86.8% | 20.2 |
540 | 310.3 | 49.4 | 84.1% | 20.0 |


- 무부하 청수 시험일: 2020년 2월 10일
- 시험일 : 2020년 2월 11일
- 평균 처리효율: 84.2%
- 평균 선속도: 20.2 m/h
- 누적 유입고형물 부하량: 14.97kg
2. 백색 압축 섬유상 부상 여재 시험 –Cycle3
시간/구분 | 유입수 농도(mg/L) | 유출수 농도(mg/L) | 처리효율(%) | 선속도(m/h) |
---|---|---|---|---|
- | - | - | - | 17.8 |
390 | 326.7 | 38.8 | 88.1% | 17.8 |
420 | 174.3 | 30.3 | 82.6% | 17.5 |
450 | 229.0 | 54.8 | 76.1% | 18.0 |
480 | 222.3 | 37.3 | 83.2% | 17.9 |
510 | 215.5 | 56.8 | 73.6% | 17.6 |
540 | 299.2 | 45.4 | 84.8% | 18.0 |


- 무부하 청수 시험일: 2019년 1월 25일
- 시험일 : 2019년 1월 29일
- 평균 처리효율: 81.4%
- 평균 선속도: 17.8 m/h
- 누적 유입고형물 부하량: 13.93kg
3. 흑색 스펀지 여재 시험 – Cycle1
시간/구분 | 유입수 농도(mg/L) | 유출수 농도(mg/L) | 처리효율(%) | 선속도(m/h) |
---|---|---|---|---|
- | - | - | - | 17.9 |
30 | 303.2 | 93.7 | 69.1% | 17.7 |
60 | 264.9 | 73.7 | 72.2% | 17.5 |
90 | 341.8 | 96.2 | 71.9% | 18.0 |
120 | 325.3 | 92.6 | 71.5% | 17.8 |
150 | 263.7 | 82.2 | 68.8% | 17.9 |
180 | 303.2 | 93.7 | 69.1% | 17.7 |


- 무부하 청수 시험일: 2019년 1월 31일
- 시험일 : 2019년 2월 1일 오전
- 평균 처리효율: 70.4%
- 평균 선속도: 17.9 m/h
- 누적 유입고형물 부하량: 16.02kg
4. 입자상 여재 시험 – Cycle1
시간/구분 | 유입수 농도(mg/L) | 유출수 농도(mg/L) | 처리효율(%) | 선속도(m/h) |
---|---|---|---|---|
- | - | - | - | 17.6 |
30 | 213.0 | 56.6 | 73.4% | 17.6 |
60 | 200.8 | 53.1 | 73.6% | 17.4 |
90 | 242.8 | 49.4 | 79.7% | 17.8 |
120 | 188.7 | 45.4 | 75.9% | 17.9 |
150 | 223.8 | 47.7 | 78.7% | 17.6 |
180 | 225.0 | 53.0 | 76.4% | 17.4 |


- 무부하 청수 시험일: 2019년 2월 2일
- 시험일 : 2019년 2월 7일 오전
- 평균 처리효율: 76.3%
- 평균 선속도: 17.6 m/h
- 누적 유입고형물 부하량: 11.40kg
여재 시험 비교표(부상스크린 여과 전, 후/ PU필터 장창 미장착 )

